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24

[블록체인] 비트코인의 유래, 발행량, 반감기, 도미넌스 등 기본적인 정보 유래 사토시 나카모토*에 의해 2008년 10월 논문(Bitcoin: A Peer-to-Peer Electronic Cash System)을 통해 공개되었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공개, 발행이 이뤄져 금융위기의 결과물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지만 비트코인 백서를 작성하기 시작한 시점은 2007년 초로 금융위기가 시작되기 전이다. 하지만 첫 번째 비트코인 블록이 채굴된 후 사토시는 "전통적인 화폐의 근본적인 문제는 신뢰를 기반으로 한다는 것이다. 중앙은행이 화폐의 가치를 함부로 훼손하지 않으리라는 신뢰가 있어야 하는데, 법정화폐의 역사를 보면 그 신뢰가 무너진 경우가 너무 많다"라는 남길 걸로 봐서, 기존 금융방식의 근본적인 문제로 발생할 수 있는 여러가지 문제에 대해 우려한 것으로 보인다. *사토시.. 2022. 5. 23.
[블록체인] '업비트'에서 '코인원'으로 코인 보내기(송금) 안녕하세요. 오늘은 업비트에서 코인원으로 코인을 보내는 방법에 대해 포스팅 하겠습니다. 방법이 쉽기는 하지만 자산을 송금하는 거고, 처음 해보는거라 확실하게 이게 맞는지 테스트해보고 진행했는데 포스팅이 있으면 도움이 될 것 같아서요. :) 우선 '코인원'에 접속하여 [자산] - [입출금] 메뉴로 이동합니다. 입금을 진행하실 코인을 검색하여 찾습니다 입금 주소를 복사합니다. (입금 받고자하는 코인의 주소가 없다면 '주소 발급 받기'를 진행합니다.) 업비트 [입출금] 메뉴에 접속하여 보내고자 하는 코인을 검색합니다. 출금신청 탭에서 복사한 주소를 붙여넣기 합니다. (입금 주소를 반드시 확인해주세요. △□코인은 △□코인 주소로만 전송할 수 있습니다.) 출금수량을 입력하고 출금 주의 사항에 대한 동의를 진행합니.. 2021. 3. 3.
[맞춤법] 실낱 vs 실낫 안녕하세요. 오늘은 제가 헷갈려서 찾아본 실낱, 실낫에 대한 포스팅입니다! 실-낱 「001」 「명사」 실의 올. 실-낫 「001」 「명사」 ‘실낱’의 옛말. +BONUS 정보+ 낱 「001」 「명사」 셀 수 있는 물건의 하나하나. 낱 「002」 「명사」 여럿 가운데 따로따로인, 아주 작거나 가늘거나 얇은 물건을 하나하나 세는 단위. 실낱은 "실"이라는 단어에 "낱"이라는 물건을 세는 단위명사가 붙어 만들어진 것 같아요. 한 올의 실처럼 아주 가늘어 끊어지거나 사라질 듯한 상태를 표현하기 위해 보통 실낱같은 목숨, 실낱같은 희망이라고 쓰곤하죠! 아마 많은 분들이 해당 표현을 쓰기 전에 헷갈려서 제 포스팅을 클릭하셨을 거라고 생각되네요. :) 실낱-같다 「001」 「형용사」 아주 가늘다. 실낱-같다 「002.. 2021. 2. 24.
[블록체인] 비트코인 반감기/채굴량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가상화폐, 비트코인에 관련해 공부할겸 포스팅을 시작했습니다. 요즘 비트코인, 블록체인에 관련하여 사람들의 관심이 다시 높아지고 있는데요. 비트코인의 기술적인 내용은 상세히 모르더라고, 비트코인 반감기에 대해 알고있으면 가격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우선 비트코인 반감기란? 약 4년을 주기로 비트코인의 채굴 보상이 절반으로 줄어드는 것을 말하는데요. 비트코인은 총 발행량이 21,000,000BTC로 제한되어 있고, 지금도 이를 채굴하기 위해 채굴업자들이 열심히 채굴기를 가동하고 있습니다. 비트코인이 처음 생성되었을 2009년 당시, 채굴보상은 50BTC였으나 4년 주기로 절반씩 줄어들어 2020년부터는 채굴에 대한 보상이 6.25BTC가 되었습니다. 2024년 어느 시점부.. 2021. 2. 19.
반응형